최근 알뜰폰 가입자가 800만명 정도 된다는 기사를 보았다. 그만큼 많은 사람들이 알뜰폰을 이용하고, 이용계획이 있는것 같다. 필자만 하더라도, SKT를 거의 6년을 써왔지만 가격이 저렴한 알뜰폰 광고를 접하고 흔들리고 있는 실정이다. 내가 지금 알뜰폰으로 옮기는게 좋은지 그냥 쭉 쓰는게 좋은지 어떤 것이 경제적인 이득을 가져다 주는지는 구체적으로 다음 글에서 작성하도록 하겠다. 일단 지금은 알뜰폰이 뭔지, 그럼 어떻게 가입하는 건지 정리해보고자 한다. 모든 글이 그렇지만 이 글 또한 궁금증에서 시작하여 이것저것 찾아보다가 글로 정리하게 되었다.
알뜰폰은 쉽게 말해, 기존의 SKT, KT, LGU의 망을 빌려서 통신사업을 하는 사업자를 통칭하는 말이다.
정확히는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Mobile Virtual Network Operator, MVNO)라는 단어가 쓰이고 있지만, 너무 길고 어려우니 이쯤에서 패스하도록 하자.
1) 알뜰폰 사업자
앞서 말한 것과 같이 알뜰폰 사업자는 통신망을 구축할 필요없이 기존 통신사의 통신망을 빌려서 사업을 하기 때문에 기존 통신업 보다는 진입장벽이 높지 않다. 사실 통신업의 큰 진입장벽은 통신망 구축에 드는 비용인데, 이 부분이 해소되기 때문에 진입장벽이 낮은 편이다(그림 1). 그래서 그런지 현재 알뜰폰 사업자가 생각보다 많다. 최근에는 Liiv 모바일이라고 금융사인 KB에서도 통신업에 뛰어든 것만 봐도 진입장벽이 낮아서 치열한 산업임을 알 수 있다.
현재 알뜰폰 사업자는 10여개 정도 되고(이것 말고도 더 있는걸로 알고 있다), 회사명은 다음과 같다.
SK7모바일 | M모바일 | U+알뜰모바일 | 헬로모바일 |
유니컴즈 | freeT | 아이즈비전 | 에넥스 |
티플러스 | 에스원 | 코드모바일 |
사실 맨 윗줄의 볼드밑줄 표시한 4개의 통신사 빼고는 마이너한 회사라고 보면 된다. 주 4개사의 정체를 알게되면 좀 허무해지는데, 이 회사들은 통신사의 자회사이다. 이름에서 대충 알 수 있지만, SKT - SK7모바일/ KT - M모바일/ U+ - 알뜰 모바일, 헬로모바일(최근 합병됨)을 자회사로 두고 있다.
2) SKT,KT,LGU+ VS 알뜰폰
그렇다면, 기존의 통신사와 알뜰폰은 어떻게 다를까? 크게 3가지 차이점이 있고, 이를 비교하면서 어디를 이용할지 결정하면 될 것 같다. SKT를 가지고 비교해보겠다(필자가 SKT라....). 필자도 알뜰폰으로 옮길까 고민 중인데, 다음 글에서 계산해보면서 비교해볼까 한다.
① 요금제
- 가장 큰 차이점은 바로....요금제다. 알뜰폰 요금제가 확실히 싸다....무제한 요금제 하나만 비교해보자.
SK 7Mobile - LTE 음성 다 유심 11GB | SKT - BAND 데이터 퍼펙트 |
33,000(이벤트가) | 65,890 |
통화, 데이터 무제한 (11GB + 매일 2GB/소진시 3Mbps로 계속) |
통화, 데이터 무제한 (11GB + 매일 2GB/소진시 3Mbps로 계속) |
같은 조건인 데이터를 비교했을 때, 약 50%나 싸다. 심지어 알뜰폰은 무약정이다...사실 금액만 보면 안 넘어갈 수가 없는 금액이긴 하다. 기본적으로 약정 기간인 2년을 두고 계산해보면, 약 70만원을 절약할 수 있기 때문에 많은 돈을 절약할 수가 있다. 물론 공시지원금과 선택약정 등의 추가적인 조건을 비교해야 정확히 비교가 가능하지만, 일단은 단순 비교만 해본다. 여러 케이스를 비교하는 건 다음 글에서 해보겠다. 첨언 하자면 이벤트가라고 써있지만 이벤트는 계속된다... 계속 저 가격이라고 보면 된다.
② 멤버십
- 또 다른 차이점은 멤버십의 유무라고 보면 될 것 같다. 알뜰폰의 경우에는 따로 멤버십 혜택을 받을 수 없다. 필자의 경우에는 주로 편의점과 베이커리 그리고 카페에서 많이 쓰는 것 같다. 그래서 한달에 2000~3000원은 지속적으로 쓰고 있다. SKT는 매달 T - Day라고 해서, 일시적으로 할인율을 올려주거나 새로운 가맹점을 추가해주기도 하는데 매우 쏠쏠하다. 저번달(20년 1월)에는 던킨도너츠 50% 혜택이 가장 좋았다. 필자와 같이 멤버십 서비스를 적극 활용한다면 기존 통신사를 활용하는게 좋을 것 같고, 멤버십 서비스를 써본 기억이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이라면, 알뜰폰으로 옮기는 것을 추천해본다.
③ 고객센터
- 웹상에서 많이 언급되고 있는 내용이긴 하지만, 알뜰폰 사용자들한테 물어보면 최근에는 많이 좋아졌고 무엇보다 통신사 자회사인 알뜰폰 사업자를 이용할 경우에는 고객센터를 같이 두고 있기도 한 것 같다. 그래서 많이 불편하지는 않은 것 같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알뜰폰 사업자가 무엇인지, 그리고 기존 통신사와의 차이점은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다음 글에서는 본문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여러 케이스를 실제로 계산해가면서 살펴보려고 한다. SKT 와 SK 7Mobile을 기준으로 비교해보겠다.
'잡다한생활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티스토리 운영] 1. 네이버 웹마스터 도구 등록 (0) | 2020.10.11 |
---|---|
확정일자 받기!(인터넷 & 현장) (0) | 2020.10.03 |
[리얼후기] 중고차 판매 2 - 딜러선택 및 거래하기(엔카 vs 헤이딜러 vs 첫차 vs KB 차차차) (0) | 2020.10.02 |
[리얼후기] 중고차 판매 1 - 견적신청 (엔카 vs 헤이딜러 vs 첫차 vs KB 차차차) (0) | 2020.09.26 |
자동차의 이것저것 - 자동차 등록원부등본(중고차 살 때 필수!!) (0) | 2020.09.08 |